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인구위기 극복 위해 비혼 출산 지원 필요” (2023.06.20)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023.06.20
6 조회

본문

19df23d19c091.jpg


▲ 20일 정기세미나에서 김영철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 “동반가정 등록제(가칭)‘제안” 

 

저출산·고령화 등 심각한 인구문제의 해법을 민간 차원에서 모색하는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원장 이인실)(이하 한미연)은 20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인구정책으로서 비혼 출산’이라는 주제로 제2회 정기 세미나를 개최했다. 

 

2021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비혼 출산율은 2.9%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유교적 사고방식이 뿌리 깊은 우리 사회에서 결혼을 하지 않고 출산을 하는 비혼 출산의 경우는 일반적이지 않다. 반면 2020년 기준 OECD 회원국 평균 비혼 출산율은 41.9%으로 비혼 출산 가정은 OECD 주요국에서 일반적인 가족형태로 자리잡고 있다. 지난 5월 내한한 세계적인 인구학자 데이비드 콜먼 교수는 한국의 저출산 대책으로 비혼 출산에 대한 인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권고한 바 있다.  

  

한미연은 비혼 출산에 대한 인식 변화의 필요성과 사회적 지원 체계 등을 논의하기 위해 이번 세미나를 마련했다. 한미연 김종훈 회장은 이날 환영사에서 “우리 사회는 비혼 출산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라며 “정부는 가족과 관련한 법과 제도를 시대에 맞게 바꿔야 한다.” 라고 말했다.  

 

이날 주제 발표를 맡은 김영철 서강대학교 경제학 교수는 “비혼 인구가 비혼 가정의 형성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우리나라와 OECD 주요국과의 결정적 차이”라고 말하고 비혼 출산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동반가정 등록제(가칭)’ 라는 정책을 제안했다. 결혼을 하지 않더라도 자녀를 출산한 동거인에게 부모로서의 법적 지위를 인정해주자는 것이다. 이를테면 동거인에 대한 △국민의료보험 피부양자 등록 등 가족복지서비스 적용 △병원에서 수술동의서 등을 작성할 때 법적인 배우자로 인정 △각자의 재산을 관리 및 처분할 수 있는 별산제 △부모 합의 하에 자녀 성(姓) 선택 △동거인의 가족과는 친인척관계 미형성 등이 주요 내용이다.

 

이후에는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이 좌장을 맡아 송헌재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변수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은기수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의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송헌재 교수는 “저출산 정책 지원 대상을 부모 중심에서 자녀 중심으로 바꿀 때“라며 “국가가 아이가 걱정 없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데 집중하면, 부모의 혼인 상태는 정책 설계에 있어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변수정 연구위원은 “올해 국회에서 생활동반자법이 발의되는 등 비혼 동거나 비혼 출산과 관련한 논의와 변화의 노력이 있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결혼, 출산, 가족에 대한 전통적인 가치관이 유연화·현대화되는 것을 인정하는 사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은기수 교수는 “인구정책으로 비혼 출산을 바라보기 이전에 비혼 출산에 대한 개인의 자율적 선택으로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비혼 출산 가정을 전통적인 출산 및 가족과 동등하게 대우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인 정비가 필수적이다“라고 주장했다. 

 

정재훈 교수는 “가족의 의미는 절대적이지 않으며, 가족은 움직이는 삶의 단위이다”라며 “개인이 선택한 삶에 대해 사회적 낙인을 찍는 현상이 바뀌지 않으면 출산율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연은 이번 세미나 이후 하반기에도 인구문제 해결을 위해 ‘국가별 기업의 인구정책 참여사례 및 정부정책’, ‘여성의 경제활동과 인구변화', ‘생산연령 인구감소’ 등의 다양한 이슈에 대한 세미나와 포럼을 지속하고 인구문제 관련 정책 제안에 나설 계획이다. 

뉴스레터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의 최신 소식과 이벤트를 먼저 접하세요.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