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소개

mobile background

인사말

인구구조 변화라는 예정된 미래가 국가 경제와 사회 전반에
심각한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경고음이 울린지 오래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는 인류 역사 이래 매우 예외적인 초저출산 기록을 매년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감사원은 이대로 가다가는 30년 후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의 70%, 50년 후에 93%가 소멸 위기에 처할 것이라 보고서를 내놓기도 하였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들과 국내외 석학들이 한국이 인구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골든타임은 앞으로 5년~10년 밖에 남지 않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인구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이 아닌 한 때의 지원은 미봉책에 불과합니다. 대동소이한 출산장려 정책만으로는 현재와 같은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만으로는 인구 정책이 실효를 거두긴 어렵다는 것은 자명합니다. 가정과 사회, 기업 등 민관이 함께하는 범국가적인 사회 운동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합니다.


인구감소에 따른 심각한 위기 상황을 국민들께 알리고 함께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합니다.

특히 변화를 목전에 둔 기업이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인구구조 변화 문제에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합니다.

사태의 심각성에 비추어 민간 특히 기업이 힘을 보태야 한다는 취지로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 출범합니다.

이사장  정 운 찬

한국은 2021년 센서스 집계를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상회하는 Population Death Cross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미 OECD회원국 중 최저의 출산국가인데도 인구절벽 시계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습니다. 인구축소가 이어지다 국가 소멸로까지 치닫게 될지도 모르는 예정된 미래를 막을 마지막 탈출 기회마저 사라지고 있습니다.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이 없습니다.


거대한 융복합 문제를 아주 좁은 시야를 가진 전문가, 공무원, 국회의원들이 근시안적 진단과 처방으로 대처하여 예산과 인력을 낭비하던 인구정책 시스템에 대한 리셋이 필요합니다. 민간과 기업도 공동체의 일원으로써 저출산 고령화로 초래되는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합니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인구구조변화가 가져올 미래를 예측하고 대응방안을 연구하는 기관으로 민간 기업, 학계, 종교계 등 사회 각 계층과 다양한 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적 플랫폼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대한민국이 직면한 인구구조의 변화 위기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연구하고, 정책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실행해 나가겠습니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과 함께 지속가능한 국가 미래를 위해 나서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원장  이 인 실

인사말

인구구조 변화라는 예정된 미래가 국가 경제와
사회 전반에 심각한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경고음이 울린지 오래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는 인류 역사 이래 매우 예외적인

초저출산 기록을 매년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감사원은 이대로 가다가는 30년 후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의 70%, 50년 후에 93%가 소멸 위기에

처할 것이라 보고서를 내놓기도 하였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들과 국내외 석학들이 한국이 인구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골든타임은 앞으로 5년~10년 밖에

남지 않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인구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이 아닌 한 때의 지원은

미봉책에 불과합니다. 대동소이한 출산장려 정책만으로는

현재와 같은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만으로는 인구 정책이 실효를

거두긴 어렵다는 것은 자명합니다.

가정과 사회, 기업 등 민관이 함께하는 범국가적인

사회 운동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합니다.


인구감소에 따른 심각한 위기 상황을 국민들께 알리고

함께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합니다.

특히 변화를 목전에 둔 기업이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인구구조 변화 문제에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합니다.

사태의 심각성에 비추어 민간 특히 기업이 힘을 보태야

한다는 취지로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 출범합니다.

이사장  정 운 찬

한국은 2021년 센서스 집계를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상회하는
Population Death Cross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미 OECD회원국 중 최저의 출산국가인데도

인구절벽 시계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습니다. 

인구축소가 이어지다 국가 소멸로까지 치닫게

될지도 모르는 예정된 미래를 막을 마지막 탈출

기회마저 사라지고 있습니다.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이 없습니다.


거대한 융복합 문제를 아주 좁은 시야를 가진

전문가, 공무원, 국회의원들이 근시안적 진단과

처방으로 대처하여 예산과 인력을 낭비하던

인구정책 시스템에 대한 리셋이 필요합니다.

민간과 기업도 공동체의 일원으로써 저출산

고령화로 초래되는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합니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인구구조변화가 가져올

미래를 예측하고 대응방안을 연구하는 기관으로

민간 기업, 학계, 종교계 등 사회 각 계층과

다양한 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적 플랫폼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대한민국이 직면한 인구구조의 변화 위기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연구하고, 정책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실행해 나가겠습니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과 함께 지속가능한

국가 미래를 위해 나서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원장  이 인 실


이사장 정운찬 ㅣ  고유번호 462-82-00484 

Tel  02.501.2281 ㅣ  E-mail  kppif2022@gmail.com

Copyright 2022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 등록번호 462-82-00484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90길 40, 3층 (대치동, 예감빌딩) 

Tel  02.501.2281 ㅣ  E-mail  kppif2022@gmail.com

Copyright 2022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All Rights Reserved.